리박스쿨 늘봄교실 개입 논란 총정리: 교육부 조사와 정책 변화
리박스쿨의 늘봄교실 진입 구조
리박스쿨은 ‘한국늘봄교육연합회’라는 이름으로 서울교육대학교와 협약을 맺고, 자손군 참여자들을 ‘창의체험활동지도사’로 양성한 후 초등학교 방과후 수업에 투입했습니다. 특히 늘봄교실을 통해 사회·정치 관련 콘텐츠를 전달하며, 특정 정치 세력이나 이념에 우호적인 메시지를 학생들에게 주입했다는 학부모들의 제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교육부의 해촉 조치 및 전국 전수조사
이 사태가 확산되자 교육부는 리박스쿨 대표 손효숙 씨를 교육정책자문위원직에서 해촉했으며, 전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리박스쿨과 연계된 강사를 전면 조사하기 시작했습니다. 해당 강사는 즉시 수업에서 배제되었고, 교육부는 대체 강사를 신속히 투입해 학습 공백을 최소화했습니다. 또한 민간 교육기관 검증 기준 강화 방침도 함께 발표했습니다.
학부모·교육청 반응 및 제도 개선 논의
서울시교육청을 포함한 지방 교육청들은 리박스쿨 관련 프로그램을 전면 조사하고 있습니다. 학부모들은 정치 단체가 자녀 교육에 관여한 점에 대해 강한 반발을 보였으며, 일부 학교에서는 리박스쿨 수업을 즉각 중단하고 사과문을 공지했습니다. 서울교대 역시 관련 협약에 대한 내부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1. 리박스쿨은 어떻게 늘봄교실에 참여했나요?
A1. ‘한국늘봄교육연합회’ 명의로 서울교대와 협약을 맺고, 자손군 참여자들을 방과후 수업 강사로 투입해 늘봄교실을 운영했습니다.
Q2. 늘봄교실 수업에서 어떤 문제가 있었나요?
A2. 일부 강사들이 정치적 메시지를 포함한 교육 콘텐츠를 활용해 수업을 진행했고, 특정 정치관을 긍정적으로 설명하는 발언이 있었다는 제보가 다수 접수됐습니다.
Q3. 교육부는 어떤 후속 조치를 시행 중인가요?
A3. 자문위원 해촉, 전국 초등학교 전수조사, 문제 강사 배제, 대체 강사 투입, 민간 교육 단체 검증 절차 강화 등 다각적 대응에 착수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