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봄학교 리박스쿨 논란 정리: 정치 편향과 여론조작 조직의 교육 침투
늘봄학교에 침투한 리박스쿨의 방식
리박스쿨은 '한국늘봄교육연합회' 이름으로 서울교육대학교와 협약을 체결하고, 자체적으로 교육한 강사들을 ‘창의체험활동지도사’ 자격으로 늘봄학교에 파견했습니다. 해당 강사들이 정치 편향적인 교육 콘텐츠를 초등학생 수업에 사용하는 정황이 포착됐고, 리박스쿨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정치적 메시지가 담긴 교육자료가 배포됐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자손군의 정체와 교육 침투 경로
자손군은 리박스쿨이 운영한 여론조작 조직으로, 기사 댓글 조작, 정치 관련 콘텐츠 확산, 단체 활동 등을 조직적으로 수행했습니다. 이 조직의 일부가 늘봄학교 강사로 활동하며, 정치 이념을 주입하는 수업을 진행했다는 것이 뉴스타파의 핵심 보도입니다. 자손군은 내부 카카오톡 채팅방을 통해 강사 활동 보고와 콘텐츠 배포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련 기사 보기
교육부와 서울교육청의 대응
교육부는 손효숙 리박스쿨 대표를 교육정책자문위원직에서 해촉했고, 전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늘봄학교 프로그램 전수조사를 시행 중입니다. 서울시교육청은 리박스쿨 관련 강사들을 배제하고, 민간단체 교육참여 절차에 대한 전면 개편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학부모 단체와 교육계는 공교육 내 정치 중립성 강화 대책 마련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자주 묻는 질문
Q1. 리박스쿨은 왜 늘봄학교를 선택했나요?
A1.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방과후 프로그램은 민간단체의 접근이 쉬운 구조이기 때문에, 리박스쿨은 서울교대 협약을 기반으로 강사 투입 통로로 활용했습니다.
Q2. 자손군이 수업에 사용한 콘텐츠는 어떤 성격인가요?
A2. 일부 콘텐츠에는 특정 정당을 옹호하거나 진보 진영을 비난하는 내용이 포함됐고, 이는 정치적 중립성을 위반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Q3. 현재 교육부의 후속 조치는 무엇인가요?
A3. 전수조사 외에도 교육 콘텐츠 심사, 민간단체 검증 강화, 정치 중립성 법제화 검토 등 제도적 대응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